컨테이너(4)
-
2025 미국 DEM(디머리지), DET(디텐션) 기준과 비용 정리
2025년 미국의 디머리지 디텐션(Demurrage Detention) 정책은 해운 및 물류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관세문제, 파나마운하 소유권 문제 등등 다양한 문제가 예정되어있습니다. 북미에 계신 자재/물류 관련 업무하시는 분들에게는 업무에 큰 변화가 생길 것 같습니다. 이런 문제에 잘 대응하려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변화를 빠르게 포착해서 피해간다. 2. 돈을 많이 써서 창고를 빌리든 항공의 띄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인 DEM(디머리지) /DET(디텐션)의 기준과 비용이 어떻게 바뀌냐가 가장 메인포인트일겁니다. 디머리지와 디텐션은 화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 비용을 의미합니다.가장 큰 DEM, DET변화는 평균적으로 하루에 $20씩 디머..
2025.01.01 -
무역/포워딩 해상 운송 - 컨테이너 추적 (Container tracking)
안녕하세요 자재팀 이대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모선 추적을 알아봤다면 이번엔 컨테이너 추적을 알아보겠습니다. ▼ 이전 포스팅 https://logisticmanager.tistory.com/19 무역/포워딩 해상 운송 - 모선 추적(Vassel tracking)하는 방법 북미에서 자재/물품 발주를 냈다면 정상적으로 모선에 선적되었는지 업체에서 알려주게됩니다. 예를들어 A사에서 B사에 발주를 냈다면 당연히 B사 업무 담당자가 A사에게 XXX모선에 해당자재 모 logisticmanager.tistory.com 컨테이너 트래킹은 어느항구를 쓰냐에 따라 다른데, 북미는 LA/Port Elizabeth(뉴욕)/Mobile/Miami의 경우는 APM terminal이라 아래 사이트를 사용 1) https://ww..
2023.10.07 -
CBM 의 정의와 계산방법, 컨테이너별 CBM
안녕하세요. 이대리입니다. 오늘은 CB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업무를 하면서 40피트 컨테이너 혹은 20피트 컨테이너에 몇개의 제품이 들어가는지 궁금해서 검색하다가 들어오셨을거라 생각됩니다. 맨 아래 표를 보시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BM이 뭘까? 항공, 해상 또는 육로를 통해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상품을 운송하는 사업에서 CBM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을 자주 듣습니다. "입방 미터"의 줄임말인 CBM은 운송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 단위이며 운임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을 결정합니다. CBM 정의 입방 미터 또는 CBM은 발송물의 부피를 측정한 것입니다. 화물이 선박, 항공기 또는 트럭에서 차지할 공간을 결정하고 운송 비용을 결정합니다. CBM은 말 그대로 가로X세로X높이로 운송물의 크기를..
2023.05.20 -
40피트 컨테이너 사이즈 와 실제 내부 크기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대리입니다. 오늘은 해상물류에서 가장 기본사이즈인 40피트(ft)컨테이너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해상운송되는 컨테이너를 찾고있다면 40ft(피트)컨테이너가 가장 일반적인 크기입니다. 그러나, 진짜 궁금한 것은 40ft 컨테이너 얼마나 많은 물건이 들어갈 수 있는지가 관건이겠죠? 40피트 컨테이너의 실제 크기는 얼마일까? 정확하게는 40피트 컨테이너가 40피트 사이즈가 아닌 것을 우선 알아야합니다. 박스크기가 10미터라고해서 10미터짜리 물건이 들어가는게 아니니까요. 외부치수와 내부치수, 두께, 컨테이너 문 등 다양한 조건들을 확인하셔야합니다. 심지어 컨테이너별로 내부에 보강재가 있는지 없는지, 바닥보강을 했는지에 따라 치수는 다양하게 바뀝니다. 1. 외부치수 일반적인 40ft 컨테이..
2023.05.20